중국이 무역에서 위안화로 결제하는 비중이 22%를 넘어서면서 위안화가 '세계 5대 결제통화'에 진입했다.
13일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가 발표한 '최근 위안화의 국제화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지난해 위안화 수출·입 결제액은 5조9000억 위안으로 전체 무역액에서 22.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1년 1조6000억 위안의 3.7배나 늘어난 수치다. 전체 무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1년 6.9%에서 급증했고 전년도에 비해 10.7%p 증가했다.
위안화 결제 비중이 높아진 것은 중국이 2009년 4월 위안화 무역결제를 시범 허용한데 이어 지역별로 제한하던 위안화 무역결제 및 국제투자 규제를 2011년에 완전히 풀었기 때문이다.
특히 위안화는 지난해 11월 캐나다 달러와 호주 달러를 제치고 사상 처음으로 전세계 결제통화 순위에서 5위에 진입했다. 현재 1~4위는 미국 달러와 유로화, 파운드, 엔화 순이다.
2013년 1월만 해도 위안화 국제 결제통화 비중은 0.63%로 13위에 불과했지만 조만간 일본 엔화도 추월할 것이란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한국 기업의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은 2%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전체 거래액의 95%를 달러화로 진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무역업계에선 중국 내수시장 공략이 시급한 만큼 환전수수료 및 환율 변동 리스크 절감을 위해 위안화 결제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 중국에 자회사를 둔 경우 한국 본사의 환전수수료 절감을 위해 최근 일부 국내 기업이 본·지사간 무역 및 투자금을 위안화로 송금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무협은 전했다.
최용민 무협 북경지부장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프로젝트 대금결제 및 투자의 상당 부분이 위안화로 이뤄져 위안화 국제화는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며 "환변동 위험과 은행 수수료, 중국 바이어 이익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안화 결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