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어촌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산업경영인 1720명을 선정, 1인당 최대 1억원씩 지원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젊은 인력이 어촌으로 유입돼 수산업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올해 수산업경영인 1720명을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1316명에 비해 30.7% 늘어난 수치다.
수산업경영인은 어업인 후계자(50세 미만 어업경력 없고 경력 10년 미만), 전업경영인(55세 미만 어업인후계자 선정 후 3년 이상 경과), 선도우수경영인(전업경영인 선정 후 3년 이상 경과하거나 수산신지식인으로 선정된 자) 등을 통칭한다.
이 중 어업인 후계자 1501명(87.3%), 전업경영인 197명(11.5%), 선도우수경영인 22명(1.2%)을 선정했다.
연령별로는 40대가 820명(47.7%)으로 가장 많고, 30대 594명(34.5%), 20대 미만 228명(13.3%), 50대 78명(4.5%)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경남 320명(18.6%), 충남 131명(7.6%), 전북 98명(5.7%), 경북 97명(5.6%), 제주 92명(4.3%) 순으로 선정됐다.
해수부는 올해 선정된 수산업경영인에게 1인당 최대 1억원의 자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들의 안정적인 어촌정착을 위해 올해부터 지원한도액도 종전 7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리고, 융자 금리도 3%에서 2%로 인하하는 등 지원을 강화했다. 지원 자금은 어선어업·양식업·수산물가공 및 유통·소금제조업 등의 창업자금과 경영자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양근석 소득복지과장은 "수산업경영인들이 성공적으로 어촌에 정착하고 안정적으로 수산업을 경영할 수 있도록 창업과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산업경영인 양성은 정부가 핵심개혁과제로 추진 중인 '해양수산업의 미래 산업화'를 위한 사업으로, 지난 1981년부터 수산업에 종사할 청장년을 발굴해 지원해오고 있다. 해수부는 올해까지 총 2만4321명의 수산업 경영인을 선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