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데일리 강철규] 정부가 2023년 10월 타결된 에콰도르와의 전략적경제협력협정(SECA) 협정문에 정식 서명했다.
SECA가 양국 국회를 거쳐 정식 발효되면 우리나라는 에콰도르 에너지, 원자재 등을 안정적으로 수입하고 수출에 있어 중남미 시장 다변화를 모색할 수 있고 에콰도르는 한국에서 첨단 기술과 투자를 유치를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에콰도르 루이스 알베르토 하라미요 생산통상투자수산부 장관이 2일 서울에서 양국 통상장관 회담을 갖고, 한-에콰도르 SECA 협정문에 정식으로 서명할 예정이라고 2일 밝혔다.
SECA는 기존 관세 혜택 중심의 자유무역협정(FTA)에 환경, 노동, 공급망, 의료 등 다양한 경제협력 요소를 보완한 협정이다. 양국은 2016년 협상개시 이후 총 9차례 공식협상을 통해 2023년 10월에 전체협상을 타결한 바 있다.
한-에콰도르 SECA는 이번 정식서명을 완료함으로써 국회 비준 동의 등을 거쳐 발효될 예정이다.
에콰도르는 원유(중남미 3위), 구리 등 에너지·자원이 풍부하고 중남미 국가 중 정세가 안정적이며 미국 달러화를 사용하는 자유무역 국가로서 투자 위험성이 적은 유망시장으로 평가받는다. 우리정부는 에콰도르를 교두보로 삼아 중남미 시장으로의 수출시장 다변화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SECA가 발효되면 최대 40%의 고율관세가 적용중인 우리 자동차의 경우 발효 후 15년 내(하이브리드차의 경우 35%, 5년) 관세가 철폐됨으로써 중국(20년 내 철폐), 일본 등 주요 경쟁국 대비 유리한 시장접근 여건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중남미 내 한류 확산으로 주목받는 화장품, 라면 등 소비재와 의약품 관세도 철폐돼 수출확대도 기대되고 에콰도르 내 온라인 게임, 유통, 영화·음반 등 분야도 개방됨으로써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K-콘텐츠 소비 및 수출 확대가 예상된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양국 통상장관 회담에서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양자 자유무역협정은 수출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을 다변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라며 "SECA 체결을 통해 양국 기업이 수출 확대 및 시장 다변화를 위한 교두보를 확보하고 미래지향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