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의 자본확충을 위해 출자전환 대신 영구채를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은은 대우조선 자본확충 방법으로 위법성 논란이 없는 영구채 매입을 고려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우조선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이나 채권단 자율협약을 통해 구조조정을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수은의 출자전환에는 법적 근거가 없다"며 "결국 자본으로 인정받으면서도 위법성이 없는 영구채 매입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수은과 산은은 대우조선의 회생을 위해 4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분담액은 수은이 1조6000억원, 산은이 2조6000억원이다.
이 중 산은 지원액 2조원은 유상증자와 출자전환 등 자본확충에 활용하기로 했다.
산은은 지난해말 4000억원을 유상증자했고 남은 1조6000억원을 출자전환 해 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을 500% 이하로 낮출 계획이었다.
하지만 수주절벽, 앙골라 국영석유회사 소낭골에 대한 드릴십(이동식 원유시추선) 인도 지연 등으로 자본확충 규모를 약 3조원 수준으로 늘려야하는 상황이 됐다. 수은의 출자전환 참여가 거론되는 이유다.
당초 자본확충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했던 수은은 난색을 표했다.
국제결제은행(BIS) 비율이 낮아 정부 지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또다시 무리해 대우조선을 지원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다.
게다가 산은의 출자전환을 두고 법적 해석이 엇갈리고 있어 이에 따르는 부담도 적지 않다.
수은의 출자전환 여부를 놓고 정부와 두 국책은행이 합의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구채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영구채는 원금을 상환하지 않고 이자만을 영원히 지급하는 채권인데 자본으로 인정된다. 위법성 논란에서도 자유롭다.
금융권 관계자는 "산은이 1조6000억원 혹은 그보다 약간 큰 규모의 출자전환을 하고 수은이 1조원 중반대의 영구채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대우조선 자본확충 밑그림이 그려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수은 관계자는 "현재 산은과 대우조선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영구채 매입도 여러 방안 중 하나일 뿐 아직 확정된 내용은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