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업공개(IPO)를 통한 상장이 활발하게 이뤄졌지만, 상당수 종목이 공모가에도 미치지 못 하는 소위 '깡통'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IPO로 이름을 올린 기업은 코넥스 시장을 제외하고도 모두 118개사에 달한다. 이에 따른 자금조달 규모는 4조5000억원으로, 상장사 기준으로는 전년 대비 46개사가 늘었다.
하지만 상장하자마자 공모가 아래로 떨어진 종목 26개는 평균 9.9%,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저조한 실적을 보인 33개 종목은 평균 21%의 손실률을 기록했다.
특히 IPO 수급불균형이 있었던 지난해 11월부터 12월에는 수요예측 부진 등으로 회사 10곳이 IPO 공모를 철회했다.
당시 이름을 올린 종목 가운데서도 손실을 기록한 곳이 상장일 기준 18곳, 연말 기준으로도 14곳에 달했다.
금감원은 공모주를 투자할 때 ▲수급현황 ▲수요예측 결과 ▲공모희망가액 산정 방식 ▲상장 방식 등을 살펴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지난 1월28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차이나크리스탈신소재를 시작으로 국내 증시에 이름을 올리는 외국기업이 많아질 것으로 판단, 증권신고서에 적힌 투자 위험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도 주문했다.
금감원은 올해 IPO가 늘어날 것으로 판단해 주관사에 대한 불성실한 수요 예측, 공모가 가격을 산정하기 위한 근거의 적정성, 상장 기업들의 공시 등의 감독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올해 호텔롯데 등 대형 IPO와 외국기업들의 국내 상장으로 시장의 관심이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수요예측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모가 평가의 적정성을 확보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