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이른 시일 내에 개성공단 재가동이 어렵다고 판단, 입주기업들과 협의 후 대체부지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대체부지로는 기존 산업단지의 미분양 용지를 활용하는 것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11일 국토부에 따르면 정부는 통일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행정자치부, 국토부, 금융위원회 차관이 참여하는 합동대책반을 구성하고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개성공단에는 124개 기업이 입주한 상태고 이와 관련된 협력업체만 한국에 5000여개로 알려졌다.
합동대책반은 개성공단 중단이 장기간 이어지면, 이들 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대체용지를 이른 시일 내에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대체부지로는 새로운 산업단지 용지를 제공하기보다 기존 산단 미분양 용지를 제공하는 것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83만∼84만㎡에 달하는 개성공단 부지를 대체할 만한 용지를 찾는 것보다 기존 산단에 입주기업들을 수용하는 것이 쉽다고 판단했다.
개성공단 1단계 330만㎡에 실제 생산·상업활동이 이뤄지는 토지는 대략 분양된 면적의 25% 정도다.
국토부 관계자는 "입주 기업들이 원하면 최대한 빨리 대체 용지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 산단을 중심으로 후보지를 살펴보고 있다"며 "용지마련에 어려움이 없도록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준비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