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8일 소비자 물가의 오름세가 점차 확대되면서 올해 1.4%, 내년 2.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이 이날 발표한 '인플레이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1.4% 상승할 전망이다. 상반기 1.2%에서 하반기 1.5%로 오름세가 확대될 것이라는 예측에서다.
무엇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지난해 10월(1.7%) 전망치보다 3개월만에 0.3% 낮춘 건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 등의 감안한 조치다.
다만 지난해 3·4분기 교통요금 인상과 개인서비스요금 인상 등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서 예상보다 하락 폭이 낮아졌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하반기 소비자 물가는 상반기 0.5%에서 하반기 0.9%로 오름세가 확대됐다.
한은은 "내년에는 석유류 가격의 물가하락 영향이 다소 약해지면서 올해보다 소비자 물가가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향후 물가 경로상에는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상·하방 리스크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방 리스크는 비석유수출국기구(OPEC) 국가들의 감산 가능성 등에 따른 국제유가 급등, 농산물 및 국제 곡물가격 급등 가능성 등이 지목됐다. 하방 리스크로는 산유국간 생산경쟁 격화, 내수경기 부진 등이 꼽혔다.
한은은 올해부터 3년간 새롭게 적용하는 물가안정목표를 2%로 설정했다. 지난 2013~2015년간 적용된 물가안정목표 2.5~3.5%에서 1.0%p(중간값 기준) 낮아진 수준으로 제시 방식도 목표 범위에서 단일 목표치로 변경됐다.
아울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 이상 목표치에서 ±0.5%p 초과 이탈할 경우 총재 기자간담회 등을 통한 설명책임 요건을 두고 한은의 책임성을 강화했다.
한은은 "목표치가 2.0%로 낮아진 것은 인구구조의 변화와 잠재성장률 둔화, 글로벌화 진전 등으로 수요공급 측면에서 모두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된 결과"라며 "국내외 경기, 원자재 가격 추이 등을 감안할 때 소비자 물가가 당분간 낮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 점도 작용됐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중기적 시계에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도록 정책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