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태세를 강화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해킹메일이 집중 유포되고 있는 것에 대해 "4차 핵실험과 관련한 우리의 대응전략 수립 및 후속 도발을 준비하려는 북한의 소행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6일 북한의 핵실험 이후 북한의 사이버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사이버 경보를 정상에서 관심으로 한 단계 격상했다.
미래부는 "북한의 사이버 도발에 대비해 국가·공공기관 근무자들의 상용메일 사용을 차단하고 국가 주요 기반시설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는 등 범정부 차원의 총력 대응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또 "주요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업체와 SI업체, 백신업체 등 민간부문도 북한의 사이버도발에 대비해 적극 보안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거듭 요청했다"고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청와대와 외교·통일부 등 주요 정부기관과 포탈업체 관리자를 사칭한 회신 유도형 위장메일과 자료 절취형 해킹메일이 수십차례에 걸쳐 유포됐다.
미래부는 개인PC나 스마트폰에 최신 백신을 설치하고 의심스러운 메일을 열람하지 않도록 당부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인터넷상에 지난 한국수력원자력발전 사건 형태의 사이버심리전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유언비어에 현혹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