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사 고객개인정보 유출로 이들과 연계된 시중은행들의 계좌정보도 함께 새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피해는 금융당국 수장들도 피해 갈 수 없었다.
19일 금융권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1억건이 넘는 카드사 고객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자는 1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카드 보유자 수가 2000만명 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대다수 고객들의 정보가 유출된 셈이다.
이들 중에는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포함됐으며, 해당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 결제계좌를 가진 고객 대다수의 개인금융정보가 노출된 상태다.
이번에 빠져나간 개인 정보는 성명, 휴대전화 번호, 직장 전화 번호, 자택 전화 번호, 주민번호, 직장 주소, 자택주소, 직장정보, 주거상황, 이용실적 금액, 결제계좌, 결제일, 신용한도금액, 결혼 여부, 자가용 보유 유무, 신용등급 등 19개에 항목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KB국민카드 결제은행인 국민은행, 농협카드 결제은행인 농협은행, 롯데카드와 연계된 모든 결제은행들까지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등 은행권 정보가 추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번에 정보가 유출된 카드에는 사용중인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는 물론 휴면카드와 이미 해지된 카드, 현금인출카드까지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관계자는 "국민카드나 농협은행 등은 계열은행인 국민은행과 농협은행과 연계된 계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은행쪽 정보도 노출 된 것"이라면 "롯데카드의 경우 다양한 은행들과 연계된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모든 시중은행 고객 정보가 유출된 셈"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휴면카드나 해지된 카드의 정보가 유출됐다면 금융사들이 해당 고객 정보를 제대로 폐기하지 않은 사례일 수 있다"면서 "신용정보보호법이나 규정 위반이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