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패션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신진 디자이너를 집중 육성한다. 또 국내 최대 패션산업 행사인 '서울패션위크'를 아시아 대표 패션 축제로 발전시키고 동대문 패션 상권을 활성화한다.
서울시는 20일 이같은 내용의 '서울시 패션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패션산업은 전기·전자분야보다 2배 이상의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그러나 최근 제조업체의 해외이동, 명품 브랜드 수입, 해외 SPA 기업의 국내유입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신진 디자이너를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위해 고강도 오디션 '서바이벌 패션 K'를 개최해 수상자들의 해외진출 등 적극적인 데뷔를 지원한다.
만 18세이상 33세미만의 현업 종사자와 패션 관련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서울 모델리스트 대회도 실시, 국내 패션 대기업 인턴십 등 맞춤형 취업을 알선한다.
또 5년미만 신진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창작공간, 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서울패션창작스튜디오'를 업그레이드해 패션전문 인력들의 창조적인 활동을 지원한다.
서울 패션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서울패션위크와 아시아 신흥패션위크 간의 네트워크를 확대시킬 계획이다.
내년에는 패션쇼와 박람회가 결합된 트레이드쇼 '제네레이션 넥스트 서울'도 개최해 디자이너에게 판로개척 기회를 제공한다. 이 행사는 해외진출이 어려웠던 중소 패션 브랜드에 집중된다.
마지막으로 국내 최대 패션 메카인 동대문 패션 상권을 활성화한다.
먼저 동대문의 옛 명성을 회복하기 위해 의·식·주·볼거리·즐길거리 등 5가지 테마를 지역 상권과 연계, 국내외 관광객의 발길을 끌 계획이다.
아울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내 이간수문전시장에 신진 디자이너의 제품 홍보 쇼룸(Show Room)을 운영, 마케팅을 위한 플랫폼을 마련한다.
한편 박원순 시장은 '서울 일자리 대장정' 10일차인 이날 신진 디자이너와 간담회를 갖고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