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이같은 계획은 그동안 한국경제를 뒷받침했던 수출이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내수활성화를 통해 경제의 활기를 되찾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부는 메르스사태로 소비가 크게 위축되자 지난 8월 광복절 전날인 14일을 대체공휴일로 정하고 대대적 소비촉진 활동을 펼쳐 짭짤한 재미를 본 바 있다.
당시 기획재정부는 대체휴일 지정에 따라 6조원 안팎의 경제적 효과가 났다고 대대적으로 선전했다.
특히 지난 2분기 민간소비가 전분기대비 -0.2%를 기록했지만 7~8월 소매판매가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보이자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를 통해 소비회복에 탄력을 붙이겠다는 의도로 보여진다.
기재부에 따르면 7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1.9%, 서비스업은 1.7% 증가했다. 또한 카드 국내승인액(전년동기비)은 5월 7.1%, 6월 8.6%, 7월 14.5%, 8월 10.3%로 각각 늘었고 차량 연료 판매량도 8월에는 6.2%나 증가했다.
실제로 미국의 경우 11월 마지막주 금요일을 블랙프라이데이로 정해 소비를 촉진시키고 있는데 이기간 미국 연간 소비의 20%가 발생하고 있다.
이번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는 백화점 71개점포, 대형마트 398개 점포, 편의점 약 2만5400개 점포 등 모두 2만6000여 점포가 참여한다.
또한 전국의 200개 전통시장과 인터넷쇼핑몰, 프랜차이즈 가맹점 등도 동참한다.
행사기간중 할인가격은 50~70%로 업체별 특성에 따라 규모나 시기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롯데백화점의 경우 720개 브랜드를 최대 70% 깎아주고 이마트는 100여개 품목을 최대 50% 할인해줄 예정이다.
또한 15개 온라인 쇼핑몰들은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10월5일부터 7일까지 특가상품 기획전, 20%상당의 추가할인쿠폰 배포 등 다양한 행사를 펼친다.
정부는 이에 행사기간중 사용되는 모든 카드의 무이자 할부,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일 조정, 대국민 홍보 강화 등 측면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대신 잦은 세일에 따른 행사 부실화를 우려하는 목소리와 정부가 내수활성화를 명목으로 업계의 팔 비틀기를 하려한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아 이를 어떻게 해소시키느냐는 숙제가 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관계부처 등과의 협의를 거쳐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를 연례행사로 정례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며 "다만 올해말에는 이번 행사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업계 협의를 거쳐 특화된 세일행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