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흥국 경제의 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우리 경제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다.
마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8일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향후 금리 인상이 시작되면 신흥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정부는 이날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제금융센터 등이 참여하는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어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영향을 점검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이날 미국의 금리 동결을 그간의 금융시장 불안을 다소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금리 인상 개시 시점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와 관계 당국은 특히 중국과 신흥국의 경기 둔화 여부가 국제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대응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현재 중국에 한정된 TF는 신흥국 전반을 대상으로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신흥국 경제 성장과 구조 변화가 세계 경제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현재 우리 경제가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대외 충격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펀더멘탈(기초체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재정수지 흑자, 정부부채 규모, 단기외채 비율, 외환보유고 등이 양호해 향후 국제금융시장 흐름에 있어서도 다른 신흥국들과 차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정부는 신흥국 불안이 국제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경우 우리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경험을 감안, 외화 유동성 관리에 각별히 유의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가산금리, 차환율 등 차입 여건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금융회사들이 보수적으로 외화 유동성을 관리하도록 지도해 나갈 계획이다.
주 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국내은행이 충분한 외화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긴장을 놓지지 않고 글로벌 경기와 국제 금융시장에 대해 면밀한 모니터링을 진행할 것"이라며 "은행들이 유동성을 보수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