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 통신비 연체자 가운데 30대 이하 청년이 92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신용불량자로 전락하지 않도록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4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유승희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로부터 제출받은 통신요금 연체자 현황에 따르면 이통3사 연체자는 총 236만485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30대 이하 청년이 92만여 명으로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미성년자도 14만3333명에 달했다.
SK텔레콤의 경우 연체금액이 100만원 이상일 경우 신용평가 회사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해 신용등급과 연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7월 기준 3만7000여명(740억원)의 신용불량자가 등록됐다. 이중 30대 이하가 49.7%에 달했다.
유 의원은 "스마트폰 세대인 청년층은 이통시장에서 가장 큰 고객"이라며 "이들에 맞게 설계된 요금제 등 다양한 지원방식을 찾아야한다. 현재와 같이 데이터중심의 비싼 요금제가 청년층 연체자를 양성하고 신용불량자로 가는 징검다리가 되고 있는 것을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청년실업이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에서 통신요금 연체로 인해 신용불량자로 전락한 상황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청년층을 위한 저렴한 통신요금제를 마련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