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6명으로 안전관리 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박민식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원전 근무자 안전사고 현황 및 보상결과'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에 발생한 사망사고는 6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발생한 사망사고는 모두 7건인 것을 고려하면 다른 해 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지난해 1월 전남 영광의 한빛5호기에서 방수로 게이트 인양작업을 하던 잠수원과 잠수보조원이 사망했다. 9월에는 경북 경주에 있는 월성3호기에서 한 잠수작업자가 취수구 물막이 설치 작업을 위한 잠수 작업 도중 사망했다. 12월에는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3호기에서 밸브 작업자 3명이 밸브 질소가스 누설에 따른 산소농도 저하로 질식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박 의원은 정기적인 현장점검임에도 계속되는 안전에 관한 사건·사고는 한수원의 허술한 재발방지 대책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수원은 질식 사망의 경우에는 정확한 원인조차 규명하지 못한 채 수사를 받고 있다.
박 의원은 "한수원의 허술한 안전관리·감독과 안전 불감증이 생명을 앗아간 안타까운 사건이다. 운영상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며 "방사선안전에 대해 철저한지도·감독과 함께 종사자 안전을 저해하는 현장관행 또는 제도가 없는지 지속해서 발굴해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