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가축매몰지 인근 지하수가 침출수로 인한 오염이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승남 의원(무소속)은 10일 "지난 2010~2011년 발생한 구제역 파동으로 생긴 가축매몰지 관리 소홀로 인근 지하수가 침출수에 의해 오염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침출수에는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이 있어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구제역 파동으로 전국에 조성된 매몰지는 4799개소다. 이중 침출수 유출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관측정은 1648개로 전체 매몰지 중 70%에 이르는 3151개가 침출수의 유출 여부조차 파악할 수 없다.
유 의원에 따르면 관측정이 설치된 매몰지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관측정이 지하수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만들어진 탓이다. 전문가들은 관측정이 지하수 흐름의 하류 방향에 설치돼야 제대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가축 사체를 매몰한 토지는 3년 이내에 발굴하지 못하도록 돼 있지만 국내외 학술자료 및 감사원 지적에 따르면 가축사체 1구가 완전히 분해되는 데는 10~12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 의원이 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금지기간 3년이 지나자마자 토지소유자들은 사체의 분해 여부와 상관없이 이미 매몰지 평탄화 작업을 진행해 재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 의원은 "썩지도 않은 가축사체 위에서 기른 농작물들이 우리 식탁 위에 놓이고 있다"며 "우리 국토와 국민 건강이 위협받고 있음에도 정부는 덮어놓고 넘어가려고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