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김종덕·문체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박명진)와 함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연예술계의 활성화를 위해 추경예산을 조기에 집행하기로 하고 31일 세부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추경예산 300억 원을 투입해 관객이 공연 티켓을 구입할 경우 티켓 한 장을 더 제공하는 '공연티켓 원 플러스 원(1+1)' 사업을 지원한다. 대상 공연의 장르 제한은 없다.
다만 영세한 공연사업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5만 원 이하의 공연 티켓에 대해 공연 회차당 100석으로 플러스 티켓을 제한할 예정이다.
한 공연단체에서 최대 3개 공연까지 지원 가능하며 공연당 지원액은 1억5000만원이 한도다. 지원대상 공연은 8월18일부터 12월31까지 국내 등록공연장에서 진행되는 공연이다.
9월 중으로 사업 중간 평가를 거쳐, 필요한 경우 플러스 티켓에 대한 기준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티켓 사재기 등 도덕적 해이를 예방하고 신속한 사업 집행이 가능하도록 주관 예매처를 선정해 진행할 예정이다.
오는 8월5일부터 지원 작품 신청을 시작해 적격성 심사 및 예매사이트 입력 과정을 거쳐 같은 달 18일 '원 플러스 원' 티켓 예매사이트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일반 관객들은 선정된 온라인 판매 주관 예매사이트를 통해 개인당 2매(플러스 티켓 포함 총 4매)까지 구입할 수 있다.
대학로·광화문 등 외국인 관광객 및 내국인 공연관람 수요가 밀집한 거점에서는, 현장에서 온라인 예매를 할 수 있는 별도의 예매 공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민간 예술단체의 지방 공연 개최 지원을 통해 국민 문화향유 기회 확산을 위해서도 추경예산 200억 원을 투입한다.
메르스 피해를 입은 공연단체를 중심으로 약 300개의 공연단체를 선정한다. 이들이 전국 농산어촌, 사회복지시설, 학교, 메르스 피해 지역 등에서 2500여 회의 순회공연을 개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지방 공연 개최 지원사업'은 '공연티켓 원 플러스 원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메르스 피해 공연단체를 지원하고, 국민들의 문화향유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8월 3~21일 신청을 받으며 공연 1회 평균 500만원, 최대 15회까지 지원한다. 준비과정을 거쳐 9월 초부터 진행한다.
메르스 유행 시기의 관객 감소에 따른 경영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공연단체를 위해서는 문화예술진흥기금 10억 원을 활용, 대관료의 일부를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메르스 유행 시기인 6월1일부터 7월31일까지 공연실적이 있는 민간 공연예술단체이며, 단체당 2000만 원 이내에서 대관료(부대시설사용료는 제외)의 80%(최대 2000만원)를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 김상욱 예술정책관은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에서 연 간담회에서 "이번 지원사업이 침체된 공연예술계에 활기를 불어넣고 국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지원사업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문체부 홈페이지(www.mcst.go.kr) 및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홈페이지(www.ark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모 신청은 국가문화예술지원시스템(www.ncas.or.kr)을 통한 인터넷 신청으로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