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초대 총재로 진뤼친(金立群) 전 재정부 부부장을 지명하면서 한국의 부총재와 이사직 확보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는 12명의 AIIB 이사 중 한 자리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재부는 국제금융 분야 국장급 간부 중 1명을 이사로 지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상근 이사를 두고 있는 세계은행이나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국제기구에는 차관보(1급) 급 간부가 파견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AIIB 이사는 베이징 본부에서 상주하기 않기 때문에 기재부에서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국장급 간부가 임명될 가능성이 높다. 비상주 이사 체제인 녹색기후기금(GCF)의 경우에도 김회정 기재부 국제금융협력국장이 이사직을 겸임하고 있다.
현재 AIIB 이사로는 국제금융 업무를 총괄하는 송인창 국제금융정책국장과 AIIB 협정문 협상을 책임져 온 김윤경 국제금융심의관 등이 거론된다. AIIB의 규모와 위상을 고려해 차관보 급인 최희남 국제경제관리관이 이사직을 맡을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의 지분율은 3.81%로 AIIB 참여국 중 5위 수준이어서 이사직 확보는 확정적이지만 단독으로 이사실(理事室)을 구성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사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4.5% 이상의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
이 때문에 기재부는 우리보다 지분율이 낮은 동아시아 국가 등과 함께 이사실을 구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부총재직을 확보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AIIB 협정문 상으로는 1명 이상의 부총재를 두게 돼 있지만 몇명의 부총재를 둘지와 어느 국가가 맡게될 지 등은 참여국들 사이에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중국인이 총재를 맡게 되는 상황에서 부총재직마저 같은 동아시아 국가인 한국에 돌아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는 부총재직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과 참여국들을 설득하고 있다. 부총재 등 조직 구성에 대한 문제는 8~9월께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가 부총재직을 맡게 될 경우 국제 금융 분야 전문성이 높은 차관급 인사가 지명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부총재를 맡게 된다면 정부 안팎에서 국제 금융 관련 업무 경험이 많고 영어가 능통하면서 리더십이 있는 분들을 찾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은성수 세계은행 상임이사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를 지낸 허경욱 전 기재부 1차관, ADB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인 이종화 고려대 교수 등이 AIIB 부총재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