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가계부채 총량이 소비와 성장 등 거시경제의 전반을 제약할 요인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 출석해 급증하는 가계부채에 대한 대책을 묻는 새정치민주연합 박범계 의원의 질의에 "가계부채의 총량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앞으로 금리가 상승할 경우 채무상환 부담이 많이 늘어나 이에 따른 문제도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구체적 대안으로 금융기관이 대출을 늘릴 때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금융기관에서 담보 위주로 대출을 하는 관행을 벗어나 리스크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완화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문제와 관련해선 LTV, DTI 조정이든 다른 여러가지 수단을 조정하든 관리가 필요한 때"라고 거듭 우려를 표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는 가계부채가 늘어나더라도 성장 모멘텀을 살리는게 중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정책적 스탠스였지만 정부에서도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며 "가계부채 협의체에서 조만간 가계부채 관리대책이 발표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