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메르스 피해업종 등에 4000억원의 자금과 세정지원 등을 약속한 한 것은 메르스 여파로 인한 경제적 파장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기획재정부는 10일 메르스로 인한 과도한 불안 심리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맞춤형 지원책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9일 4~5월의 경제동향을 분석한 그린북(최근의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가 수출 둔화로 생산과 투자 회복이 다소 지체되고 있지만 소비를 중심으로 내수가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경기회복이 뚜렷지 않은 상황에서 메르스 사태가 지난해 내내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았던 세월호의 재판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자 이번에 서둘러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달 세월호 참사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에서 민간소비가 1조8000억원 가량 감소하고 경제성장률이 0.2%포인트 가량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그런데 세월호 여파로 인한 경제적 악영향이 메르스 사태로 다시 재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메르스로 인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3개월 지속된다면 0.8%포인트 가량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실상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이 2% 초반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한 셈이다.
실제로 메르스 청정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제주지역에도 중국과 대만 관광객 3만명 등 내국인 합쳐 7만명이 예약을 취소하는 등 전국적으로 관광과 요식, 유통업종의 피해가 가시화하고 있다.
게다가 메르스 여파가 적용되지 않았는데도 5월 들어 민간소비가 하락해 앞으로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여신금융협회 등에 따르면 5월 카드 사용액 증가율은 4월 15.4%(년동월대비)의 절반도 못미치는 7.1%에 머물렀다.
이 기간 자동차용 유류 판매량 증가율은 4월 8.7%에서 5월 -2.2%로 떨어졌고 자동차 내수판매 증가율도 2.8%에서 -0.2%로 각각 하락했다.
정부 관계자는 "당장은 메르스 종식에 전력을 쏟겠지만 어느정도 기세를 잡게 되면 경기활성화 대책 등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