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은 제2의 경제수교로 양국관계에 기념비적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 남산2호실에서 열린 '한중통상장관회담'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언급한 뒤 "양국 경제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윤 장관은 "한중 FTA는 양국의 특수성을 감안해 이익균형을 달성한 협정으로 양국의 상생협력이 담겨있다"며 "상품과 서비스 개방을 넘어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시각에서 양국의 미래 협력의 방향을 제시하고 제도적인 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중 FTA 정식 서명을 계기로 관광, 문화,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재보다 교역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제 양국정부는 발효를 위한 절차를 조속히 완료해 양국 기업과 국민이 한중 FTA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중 FTA가 동아시아 발전에 초석이 될 것"이라며 "한중 FTA를 기반으로 양국간 정책적 공조를 강화해 한중일 FTA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서도 양국이 지도력을 강화해 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 해상 실크로드) 정책과 한국이 추진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 등에 대한 정책적 공조가 더욱 강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한중 FTA 서명을 계기로 개최되는 이날 양국 통상장관회담에서 통상현안에 대해 허심탄회한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며 "양국 경제협력관계를 더 강화해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가오후청(高虎城, Gao Hucheng) 중국 상무부장은 "중국 정부를 대표해 FTA에 서명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FTA 서명식이 열리기 전 양국의 공동관심사에 대해 솔직한 의견을 나눌 것이며오늘의 회의가 원만하게 진행됐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