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8일 청년 고용 문제와 관련, "각 부처의 청년일자리 사업을 전면 재점검해 고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춘천 강원대에서 '교육개혁·청년취업 간담회'를 열어 "청년 고용절벽에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대책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청년 고용에 대한 구조적 접근과 함께 보다 미시적인 접근을 강화해 체감효과를 높이겠다"며 "단기간에 청년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는 분야에 대해 인력수급 측면의 애로사항을 찾아 해소하는 한편 청년 해외취업 촉진 방안도 마련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대학의 경우 전공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활용해 학과 정원조정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정보제공·상담 및 알선·훈련 등 청년대상 취업지원 기능을 수요자 중심으로 일원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정년연장 등에 따른 단기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임금피크제를 통해 절감된 재원을 청년 신규채용에 쓰는 경우 재정지원을 하는 등 세대상생을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대학의 변화도 촉구했다.
최 부총리는 "청년 고용 문제의 두 축은 일자리 창출(수요)과 인력 양성(공급)"이라며 "대학들도 변화하는 경제·사회 환경에 맞춰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마인드를 바꾸고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해 내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앨빈 토플러는 '속도의 충돌'이라는 개념으로 학교의 더딘 변화를 지적한 바 있다"며 "'시속 100마일로 달리는 기업'에 취업하려는 학생들을 '시속 10마일로 움직이는 학교시스템'이 제대로 양성해 내기는 어렵다는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런 속도의 차이가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과 발전을 가로 막고 있다는 견해에 공감한다"며 "학령인구 감소 추세를 감안할 때 전공별 정원조정이나 교과과정 편성에 있어 미래 산업 수요를 감안해 먼저 빠르게 움직이는 대학이 결국 많은 학생들의 선택을 받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2년 후면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게 된다"며 "우리의 소중한 인적자원인 청년들에게 미래의 꿈과 희망을 줄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각오를 함께 다지면서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할 때라고 본다"고 촉구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간담회에서 취업과 창업에 대한 청년들의 고충을 듣고 의견을 수렴했다. 인재양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학·기업간 협력 방안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최 부총리는 강원대 방문에 앞서 춘천 네이버 데이터센터를 방문해 빅데이터 산업 현황을 점검하고 신산업 육성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