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안전 신산업 창출을 위해 올해 271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민안전처는 19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 4차 안전산업 육성 지원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밝혔다.
안전 신산업 창출은 소방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안전주행시스템, 건물·선박 내 개인 위치인식 및 경보시스템, 국민안전 로봇, 스마트 빅보드 등 5대 신기술 조기확보에 초점을 두고 추진될 예정이다.
정부는 신기술 개발 단계에서 수요처 요구사항을 조사, 수요처 요구사항을 반영해 기술개발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안전제품, 사이버 보안 등 안전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수 있는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 구체적인 추진과제를 발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제도 선진화를 통해 안전산업 생태계 조성 방안도 부처 합동으로 추진된다.
안전처에서는 올해 하반기부터 안전기준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안전기준심의회를 가동키로 했으며 산업부는 가스안전분야에서의 점검·진단 민간 개방 대상을 검토해 민간 전문기업의 안전산업 참여 폭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4월 재난·안전 분야 과학기술표준분류 임시분류 체계를 수립한데 이어 올해까지 안전처와 안전산업 특수분류(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외에도 정부는 도로·철도, 항만·어항, 수리시설, 학교시설, 급경사지 등 5대 분야에 대한 안전대진단을 위해 올해 1조9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안전대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노후 시설물에 대한 보수·보강 등을 위해 올해 예산을 조기 집행키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전산업 활성화에 있어 민간 역할이 중요하다"며 "민자활용 촉진, 진단·점검 기능의 민간개방, 보험기능 강화 등 민간 참여와 투자 확대 유인 과제의 철저 이행을 통해 민간 중심의 성장 여건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안전처 관계자는 "최근 재난의 예측불가능성과 피해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어, 공공 부문만으로는 국민안전을 담보하기 쉽지 않다"며 "시설물 유지·보수, 기업재해 경감활동 등 안전산업의 육성을 통해 민간의 역할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안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