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10쌍 중 8쌍은 "반드시 내 집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혼부부 10쌍 가운데 6쌍은 집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4년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 결과 신혼부부의 84.7%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응답 비중은 일반가구(79.1%)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신혼부부들이 일반 가구에 비해 주택 보유 의지가 높다는 얘기다.
소득계층별로는 고소득층(9~10분위)은 79%가, 중소득층은 84.9%(5~8분위), 저소득층은(1~4분위) 85.3%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한다"고 답했다. 저소득층일수록 내집마련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은 가계소득이 2인가구 기준으로 287만6000원 이하, 중소득층은 342만3000원~599만7000원, 고소득층은 599만8000원 이상이다.
신혼부부들은 주로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서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이유로는 주택비용 마련이 41.2%로 가장 높았고, ▲여유로운 삶을 위해(19.7%) ▲생활비 마련(17.1%) ▲육아비 및 교육비 마련(10.7%) ▲직장생활 희망(8.9%) 등의 순이었다.
부부가 갖고 있는 돈과 금융기관 대출을 통해 주택자금을 마련하는 가구의 비율이 35.5%로 가장 높았다. 부부가 보유한 자금만으로 집을 마련한 가구는 21.8%, 부부자금과 부모·친인척 상속 등으로 마련한 가구는 13.8%로 나타났다.
자신의 집을 소유한 자가 비율은 29.4%로 일반가구(53.6%)의 절반 수준이었다. 임차는 62.9%에 달했다. 이 가운데 전세는 77.5%, 월세는 21.9%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은 자가 가구는 평균 1억9800만원에 달했다. 수도권은 2억3000만원, 비수도권은 1억7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일반가구와 비교하면 수도권의 경우에는 7800만원 정도 낮은 수준이다.
전세가구의 보증금은 평균 1억1200만원으로 수도권은 1억2500만, 비수도권은 8900만원이었다.
신혼부부 지원정책 중 현재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정책은 육아지원 정책(53.4%), 주택마련 정책(35.5%), 생활안정 정책(1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가구의 연간 총 소득은 세전 4339만원에 달했고, 맞벌이 가구의 연소득은 외벌이 가구(3675만원)보다 1.5배 높은 5464만원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의 월 지출액은 265만원으로 저축(25.7%, 68만원)과 식료품비(23.1%, 61만원)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신혼부부 가구 57.2%는 대출을 받았으며 대부분 주택자금 마련(87.4%) 자금이었다. 생활비 마련(7.1%), 자동차 구입비 마련(6.5%), 사업 및 투자자금 마련(5.7%)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신혼부부의 주거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처음으로 실시된 것으로 결혼한 지 5년 이내의 신혼부부 2677가구를 대상으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