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진 '스마트공장' 추락하는 경제 활성화 시킬까

  • 등록 2017.02.15 21:05:36
  • 댓글 0
크게보기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공장'은 어떤 모습일까.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부처는 15일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실에서 스마트 공장 육성을 담은 '과학기술과 ICT를 활용한 경제 활성화 방안'을 밝혔다.

스마트공장이란 제품의 기획·설계, 생산, 유통·판매 등 전 과정을 IT 기술로 통합해 최소의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을 의미한다.

궁극적으로는 IoT, CPS를 기반으로 제조 전단계가 자동화·정보화(디지털화)되고 가치사슬 전체가 하나의 공장처럼 실시간 연동되는 생산체계를 지향한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스위스 투자은행 UBS가 발표한 국가별 4차 산업혁명 대응 순위에서 25위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싱가포르(2위), 일본(12위), 대만(16위) 등 아시아 국가에도 뒤쳐졌다는 평가다.

특히 우리나라 GDP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제조업은 경쟁국과의 기술격차 축소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재도약을 위해 스마트공장을 신속히 확산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목표는 올해 5000개 이상(민관합동 1108억원), 2020년까지 1만개다.

스마트공장 도입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겐 보증대출(보증료율 0.4%p 인하 혜택)을 시행한다.

스마트공장 추진단이 지난해 12월 스마트공장 구축 완료기업 1861개사를 대상으로 방문조사한 결과, 생산성 23% 증가, 불량률 46% 감소, 원가 16% 감소, 납기 34.6% 감소 등의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183개사를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업 매출이 하락세를 보이던 2014년 0.7%↓에서 2015년 5.3%↑로 성장 전환했다.

아울러 스마트공장 구축기업 105개사의 고용 증가율은 2014년 7.1%에서 2015년 6.0%로, 제조업 평균(3.5%→3.6%)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자동차 부품용 주물소재를 생산하는 ㈜대광주철의 경우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기존 수작업 중심의 공정에서 벗어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해졌다.

대광주철은 약 1억5000만원(자부담 35%)을 들여 생산관리시스템(MES)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시제품 제작을 단축하면서도 적정 수준의 품질을 확보(불량률 79% 감소), 기존 단일품목(맨홀뚜껑)에서 자동차 부품까지 생산 품목을 확대할 수 있었다.

단열 코팅유리를 생산하는 지앤윈은 5500만원(자부담 20%)을 투자해 스마트공장 구축 등을 통해 공정 개선과 양산 체계를 구축했다. 해외 바이어가 요구하는 안정적인 수율 유지(40%→5%미만)로 해외 건설업체들과 약 200억원의 수출 계약을 달성했다.

이보라
Copyright @2024 Fdaily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 (138-733) 서울 송파구 신천동 11-9 한신오피스텔 1017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서울,가00345, 2010.10.11 | 창간 발행인 강신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Copyright ⓒ 2025 FDAILY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fdaily.co.kr for more information
파이낸셜데일리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