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23일 오후 4시30분 구로구 신도림동 오금교 아래 안양천 둔치에서 '서부간선지하도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공식을 진행한다.
서부간선도로는 영등포구 성산대교 남단에서 금천구 금천 나들목(IC)까지 연결하는 구간이다.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장거리 교통수요와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등 도심 내 단거리를 이용하는 교통수요가 맞물려 매번 교통 정체가 발생한다.
착공 예정인 서부간선지하도로는 최대 심도 80m의 장거리 소형차 전용도로다. 왕복 4차로, 총 연장 10.33㎞의 병렬 터널로 건설된다. 2020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하도로가 완공되면 기존 서부간선도로 상부는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일반도로로 변경돼 주변지역 접근성 및 주민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교통량이 줄어든 서부간선도로의 도로폭은 기존 20~30m에서 15m로 축소해 보행자 중심의 친환경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또 성산대교 남단에서 금천 IC까지 당초 30분대에 이르던 출·퇴근 통행시간이 지하도로를 이용하면 10분대로 약 20분 가량 단축될 것으로 내다봤다. 설계 운행 속도는 시속 80㎞다.
아울러 고용 창출 효과도 기대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은 5년의 건설기간 동안 6000여명, 준공 후 도로 운영기간인 30년간 5만3000여명으로 총 5만9000여명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 기간 약 8조3000억원, 연간 2370억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서울시는 실시 협약에 따라 1380억원을 투입하고, 민간사업시행자인 서서울도시고속도로는 총 사업비 5200억원 중 73.5%인 3820억원을 부담한다. 민간사업자가 30년간 운영하며, 통행료로 수익을 낸다.
박원순 시장은 "자동차전용도로인 서부간선도로를 지하화하고, 사람 중심의 환경 공간을 조성해 주민들의 생활 환경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