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에 '베이비부머' 몰려…평균 급여 114만원~177만원 수준

  • 등록 2013.11.15 23:22:59
  • 댓글 0
크게보기

협동조합 설립을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구성원들의 만족도에 비해 아직까지 자금이나 규모 등이 열악해 정책적 지원이 시급했다.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 조달시장 우선권 부여'와 '금융시스템 구축' 등의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태조사는 지난해 12월부터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처음이다. 

설문은 지난 5월 기준으로 신고 수리·인가된 1209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 가운데 협동조합 이사장 747명(70.7%), 조합원 609명(59.1%), 피고용인 445명(63.7%)이 답변에 응했다.

그 결과, 협동조합 이사장들은 전문대졸 이상(78.7%), 50대(39.8%), 남성(79.1%), 중소기업 출신(26.9%)이 다수로 주로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퇴직 후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조합은 신생설립이 97.7%(730개)로 대부분으로 설립 준비기간은 2.6개월 정도 걸렸다. 업종은 도소매(28.2%), 농·수·임업(14.2%), 제조업(9.1%) 등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사업과 관련해서는 조사시점 당시 협동조합 사업을 막 시작한 곳이 54.4%(406개)이며 조합원을 주요고객(35%)으로 한 공동판매(51.4%)가 주된 수익창출원으로 조사됐다.

협동조합 임직원의 평균 급여는 114만원~177만원 수준이고, 임직원의 4대 보험 가입률은 이사장 13%, 상근이사 17%, 정규직 직원 63%, 비정규직 직원 21%로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협동조합의 총자산은 293억원, 평균자산은 4000만원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조합원이 낸 출자금은 74.4%인 218억원, 평균 3000만원으로 조합원 출자금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들은 현행정책 중에는 중간지원기관 설립상담을 많이 이용했고, 협동조합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공공 조달시장 우선권 부여(31.5%), 금융시스템 구축(23.8%) 등을 꼽았다.
김재욱 wodnr7470@hanmail.net
Copyright @2024 Fdaily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 (138-733) 서울 송파구 신천동 11-9 한신오피스텔 1017 |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서울,가00345, 2010.10.11 | 창간 발행인 강신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Copyright ⓒ 2025 FDAILY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fdaily.co.kr for more information
파이낸셜데일리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